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반응형
    실업급여, 단순히 퇴사했다고 자동으로 받는 건 아니에요.
    구직활동을 어떻게 했고, 어떻게 증빙했는지에 따라 수급 여부가 달라집니다.

    저도 ‘일단 몇 군데 지원했으니 괜찮겠지’ 했다가, 증빙 미비로 한 달 치 실업급여를 날릴 뻔했어요.
    그래서 준비했습니다. 실제 인정 기준이 되는 구직활동과 서류, 하나도 빠짐없이 알려드릴게요.

    실업급여근로자실업급여근호자실업급여근로자

    실업급여 구직활동 인정 기준 총정리

    • 워크넷, 잡코리아, 사람인 등에서 입사지원 후 스크린숏 캡처
    • 이메일/홈페이지 지원 내역 + 채용공고 포함
    • 면접확인서 또는 회사 발급 확인서
    • 직업훈련 수강 시 이수증 또는 수강확인서

    하루 최대 4건, 같은 회사는 5회까지만 인정됩니다.

     

     

    실업급여 수급 조건 체크리스트 (최신 기준)

    • 고용보험 가입 180일 이상
    • 비자발적 이직 (권고사직, 폐업 등)
    • 정기적인 구직활동 또는 훈련 참여
    • 증빙 가능한 서류 보유

    실업급여 계산기 사용법

    고용노동부의 실업급여 계산기를 이용하면 최근 3개월 평균임금, 나이, 가입 기간만으로 예상 수급 금액을 바로 확인할 수 있어요.

    👉 실업급여 계산기 바로가기

    실업급여 수급 중 알바 가능한 조건은?

    • 주당 15시간 미만, 3개월 미만 단기 알바는 가능
    • 고용센터에 사전 신고해야 인정
    • 초과 시 실업급여 중단될 수 있음

    실업급여 실업인정일과 구직활동 빈도 기준

    2주마다 고용센터에 출석하며 1~2건 이상 구직활동 증빙 필요.
    직업훈련 이수 시 대체 인정 가능.

    실업급여 신청 시 흔한 실수와 해결법

    1. 이메일만 보냈는데 채용공고 저장 안 함 → 원문 스샷 제출 필요
    2. 스샷/확인서 없이 활동만 함 → 인정 안 됨
    3. 알바 시작 후 미신고 → 실업급여 중단 위험

    실업급여 반복 수급 시 감액 제도 안내

    반복 수급 횟수가 많아지면 실업급여가 감액될 수 있습니다.
    지금 수급이 마지막 기회라는 생각으로 철저히 준비해 보세요.

    실업급여 Q&A 요약 정리

      • Q. 언제 신청하나요? → 퇴사 다음날부터 1년 이내
      • Q. 직업훈련도 인정되나요? → 이수증 제출 시 인정
      • Q. 아르바이트해도 되나요? → 주 15시간 미만 + 사전 신고 시 가능
      • Q. 수급금액 확인은? → 계산기 사용 (바로가기)

    실업급여 신청 전 준비사항 체크리스트

    • 워크넷/잡코리아 지원 내역 캡처
    • 고용센터 방문 예약 또는 온라인 신청 준비
    • 계산기로 평균임금 입력 후 수급액 확인
    • 알바 예정 시 사전 신고
    실업급여는 ‘실직했다’는 이유만으로 자동 지급되지 않아요.
    꾸준한 구직활동과 증빙자료, 그리고 정해진 절차를 지킨 사람에게만 주어집니다.
    오늘부터 준비 시작하세요!
     
    실업자

     

    실업급여지원금실업급여계산실업급여접수
    실업급여대상자실업급여심사실업급여심사

    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