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목차
반응형
청년 취업난이 계속되는 요즘, 여러분도 이런 고민 많으시죠?
- “나이는 많아지고 있는데, 정규직 자리는 안 보이고...”
- “채용은 하고 싶은데 인건비가 너무 부담돼요.”
저도 똑같은 고민을 했고, 수많은 자료를 찾다가 이 제도를 알게 되었어요.
청년을 정규직으로 채용하면 최대 720만 원,
청년 본인은 최대 480만 원 인센티브까지 받을 수 있는
‘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’, 알고 계셨나요?
이 글에서는 누구보다 쉽게, 확실하게 알려드릴게요!
정부 공식 사이트보다 이해 잘 되는 요약본이니 놓치지 마세요 😊
1. 지원 대상 정리
- 청년: 만 15~34세 (군필자 최대 39세), 정규직 채용 시
- 기업: 고용보험 가입 중소·중견기업 (5인 이상, 일부 업종은 예외)
2. 신청 방법 & 절차
- 신청 시작: 2025년 1월 23일
- 마감: 예산 소진 시까지 (선착순)
- 절차:
- 고용 24 또는 워크넷에서 참여 기업 등록
- 청년 정규직 채용 후 6개월 이상 유지
- 지원금은 6·9·12개월 차에 기업이 신청
- 인센티브(유형Ⅱ)는 청년이 18·24개월 후 직접 신청
3. 지원금 & 인센티브
구분 | 기업 지원 | 청년 인센티브 |
---|---|---|
유형Ⅰ | 월 60만 원 × 12개월 = 720만 원 | 없음 |
유형Ⅱ | 동일 (최대 720만 원) | 18개월 근속 시 240만 원 24개월 근속 시 추가 240만 원 총 480만 원 |
4. 제출 서류는?
- 기업: 사업자등록증, 고용보험 확인서, 근로계약서, 급여자료, 통장사본
- 청년: 유형Ⅱ 해당 시 개인정보 동의서, 근속 증빙
5.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이란?
- 청년의 정규직 채용을 촉진하고, 기업의 고용 부담을 줄이기 위한 고용노동부 정책
- 청년에게는 근속 인센티브도 제공하여 장기 고용을 유도
6. 2025년 변경 사항은?
- 제도 구조는 동일, 다만 예산 확대 → 조기 소진 가능성 ↑
- 고용24 플랫폼 중심으로 신청 편의성 강화
7. 주의사항!
- 정규직 + 최소 6개월 이상 근속 필수
- 채용 후 3개월 이내 신청하지 않으면 무효
- 다른 고용 장려금과 중복 수혜 불가
- 허위 신청 시 전액 환수 및 제재
8. 자주 묻는 질문
Q. 비정규직도 가능한가요?
A. 아니요, 무조건 정규직(무기계약 포함) 채용이어야 합니다.
Q. 청년이 중도 퇴사하면?
A. 6개월 미만 퇴사 시 지원금 지급 불가
Q. 청년도 직접 신청하나요?
A. 인센티브(유형Ⅱ)는 청년 본인이 직접 신청해야 합니다.
9. 신청 바로가기
10. 요약정리
- 기업: 정규직 청년 채용 시 최대 720만 원 지원
- 청년: 장기근속 시 최대 480만 원 인센티브
- 신청: 2025년 1월부터, 예산 소진 전까지
- 방법: 고용 24 또는 워크넷 통해 신청
반응형
'경제. 금융 > 경제.금용.복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자녀장려금 조건부터 신청 방법! 지급시기, 대상까지 총정리 (0) | 2025.07.20 |
---|---|
2025년 9월 새출발기금 신청일정확정! 신청방법부터 신청대상까지 총정리 (0) | 2025.07.18 |
서울시 정신건강복지센터 이용방법·대상·무료 서비스 총정리|2025년 최신 안내 (1) | 2025.07.17 |
갤럭시 Z 폴드7 자급제 사전예약 시작! 사전예약방법부터 혜택, 일정까지 완벽 정리 (0) | 2025.07.16 |
국민연금 보험료 인상 2025년·보험료율 변화! 신청방법부터 인상 일정까지? (0) | 2025.07.15 |